fnctId=bbs,fnctNo=950 RSS 2.0 총 157 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게시물 검색 제목 제목 작성자 검색어 입력 게시글 리스트 NO.157 컴퓨터공학부 2025년도 진로역량 제고 프로그램-SW분야 진로탐구 특강 안내(9월~11월) 새글 컴퓨터공학부2025년도 진로역량 제고 프로그램-SW분야 진로탐구 특강제 1 회 - 일시 및 장소 : 09월 18일(목) 15시, 7호관 304호 - 강사 : 김준하(15학번, 17년 8월 석사 졸업) NHN Dooray/결재서비스개발팀 - 주제 : 취업, 무작정 시작하기제 2 회 - 일시 및 장소 : 10월 30일(목) 12시, 7호관 504호 - 강사 : 이하령(20학번, 24년 2월 졸업) 카카오페이증권/첫거래TF - 주제 : 세 번의 IT 대기업 인턴, 취업 준비에서 배운 것들제 3 회 - 일시 및 장소 : 11월 06일(목) 15시, 7호관 304호 - 강사 : 김형선(05학번, 14년 2월 졸업) (주)데이사이드/소프트웨어연구소 - 주제 : 현직 개발자가 말하는 컴퓨터공학부 졸업 후의 삶제 4 회 - 일시 및 장소 : 11월 13일(수) 15시, 7호관 304호 - 강사 : 김윤정(전 서울여대교수) 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컴퓨터공학부 강사 - 주제 : 사이버보안 연구 방향 및 진로스펙트럼 후원: 인천대학교 취업경력개발원 작성일 2025.09.08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434 NO.156 컴퓨터공학부 12학번 서상민 박사 경남대학교 교수 임용 새글 컴퓨터공학부 12학번 서상민 박사 경남대학교 교수 임용[컴퓨터공학부 12학번 서상민] 본교 컴퓨터공학과 석사과정을 2018년에 입학(지도교수 안재균)한 서상민 동문이 최근 경남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서상민 동문은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부 12학번으로 학부 시절부터 탄탄한 학문적 역량을 쌓아왔으며, 본교 석사과정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구조 예측 연구에 매진하여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작성일 2025.09.08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484 NO.155 컴퓨터공학부 학부연구생 김하은 학생, SCI급 논문 게재 새글 컴퓨터공학부 학부연구생 김하은 학생, SCI급 논문 게재모바일 컴퓨팅 연구실 학부 연구생인 김하은 학생(지도교수: 홍윤식)이 제 1 저자로 참여한 논문( Real-Time Detection of Distracted Walking Using Smartphone IMU Sensors with Personalized and Emotion-Aware Modeling )이 SCI급 국제 저널인 Sensors(impact factor: 3.5)지에 게재되었다(게재일 2025년 8월 14일).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가속도 센서 등)를 활용하여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과 같은 주의 분산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앱(GaitX)으로 구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가속도계 기반의 경량 피처를 활용하여 1초 단위 분석과 5초 연속 검출 기준의 실시간 알림 메커니즘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평균 정확도 92.2%, 특히 주의 분산 보행 탐지에서 97.1%의 정밀도를 달성하였다. 또한, 개인 맞춤형 학습 기법을 적용하여 일반화 모델 대비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MBTI 성향을 탐색적 지표로 반영하여 다중 센서 확장 시 모델의 적응성과 성능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성과는 실시간 보행 안전 모니터링 및 개인화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에는 제 1저자인 김 하은 학생 뿐만 아니라 캡스톤 디자인 과제에 함께 수행했던 박 다현, 최 명윤, 안 찬호 학생 등이 공동 저자로서 참여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잘 정제된 데이터셋을 사용한 연구가 아니라, 20여명 이상의 보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학습 모델에 적용해 성능을 평가한 점이다. 논문 링크: https://doi.org/10.3390/s25165047 작성일 2025.09.08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464 NO.154 컴퓨터공학부 한재현 교수 임용 안내 [컴퓨터공학부 한재현 교수님]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 한재현 교수님이 2025년도 9월 1일자로 부임하였습니다.한재현 교수는 컴퓨터시스템의 가상메모리 매핑 방법을 변경을 통한 TLB 성능 개선 방법을 연구하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전공 분야는 운영체제와 컴퓨터 구조로 여러 연구들이 IEEE Cluster 17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 ASPLOS 23 학술대회와 SPAA 25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Distinguished Paper Award)으로 인정받았습니다.운영체제 연구실 (INOS LAB)에서는 가상메모리 시스템을 비롯한 운영체제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운영체제, 시스템 및 컴퓨터 구조에 관심이 있는 학생은 한재현 교수 (jaehyun@inu.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작성일 2025.08.28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1073 NO.153 컴퓨터공학부 정봉수 학생, Interspeech 2025 논문 발표 컴퓨터공학부 정봉수 학생, Interspeech 2025 논문 발표컴퓨터공학부 학부생 정봉수 학생이 국제 저명 학술대회인 Interspeech 2025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Interspeech는 음성 및 언어 처리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최고 권위를 가진 학술대회로, 올해는 8월 17-21일에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개최되어 총 1,16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Interspeech는 한국정보과학회에서 제정한 우수학술대회 목록에 포함돼있다.정봉수 학생의 발표 논문 제목은 "DLF-EEND: Dynamic Layer Fusion for End-to-End Speaker Diarization"으로, 녹음된 음성에서 누가 언제 말했는가(who spoke when) 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서로 다른 화자의 발화를 구분하는 인공지능 기술인 화자 분할(Speaker Diarization)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주제로 하고 있다.정봉수 학생은 김우일 교수의 지도 아래 IMPRESS Lab에서 학부연구생으로 활발히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컴퓨터공학부 학부 RA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인바 있다. 작성일 2025.08.28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918 NO.152 [인천대학교 사랑나눔회(회장:채진석교수)] 미추홀구 저소득 가정을 위한 후원금 200만원 전달 미추홀구, 인천대학교 사랑나눔회 후원금 200만 원 전달인천대학교 사랑나눔회의 후원금 전달식.인천 미추홀구는 17일 구청장실에서 인천대학교 사랑나눔회로부터 저소득 가정을 위한 후원금 200만 원을 전달받았다.이번 후원금은 지난 5월에 열린 제19회 사랑나눔회 자선 음악회 수익금으로 마련됐으며, 전달받은 후원금은 학산나눔재단을 통해 관내 취약계층에 지원될 예정이다.채진석 회장은 자선행사를 통해 마련한 수익금을 구에 기부할 수 있어 뜻깊다 며 매년 이웃사랑을 실천할 수 있어 기쁘고, 앞으로 지속적인 나눔을 이어가겠다 고 전했다.이영훈 구청장은 단순한 기부를 넘어 오랜 시간 정성으로 쌓아온 마음이 담겨 있어 더 큰 울림이 있고, 이러한 연대가 우리 사회를 더 단단하게 만든다 며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게 이 마음이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인천대 사랑나눔회는 교수, 교직원, 학생들로 구성돼 있으며, 지난 2008년부터 음악회 등 자선행사를 통해 발생한 수익금을 꾸준히 지역사회에 기부하며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정원근기자 출처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http://www.jeonmae.co.kr) 작성일 2025.07.21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1216 NO.151 컴퓨터공학과 조치현 학생, 2025 한국정보보호학회 하계학술대회 정보보호학회장상 수상 컴퓨터공학과 조치현 학생, 2025 한국정보보호학회 하계학술대회 정보보호학회장상 수상조치현(석사과정, 컴퓨터공학부 이승수 교수 연구실) 학생이 2025 한국정보보호학회 하계학술대회 (CiSC-S 25) 에서 정보보호학회장상을 수상하였다.수상 논문인 KubeSmith: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보안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시스템 보안 정책의 취약점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강화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이승수 교수 연구팀은 앞으로도 클라우드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작성일 2025.07.02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1492 NO.150 컴퓨터공학부 정환길 학생, 2025 Bias-A-Thon 대회 특별상 수상 컴퓨터공학부 정환길 학생, 2025년도 Bias-A-Thon 대회 특별상 수상컴퓨터공학부 학 석사 연계과정 정환길 학생(지도교수 신유현)이 '2025 Bias-A-Thon : Bias 대응 챌린지'에서 특별상을 수상하였다.본 대회는 성균관대학교 지능형멀티미디어 연구센터와 딥페이크 연구센터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IITP가 후원하는 대회이다.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사회적 편향 문제를 진단하고, 기술적 대응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정환길 학생은 LLM 모델을 활용해 공정하고 중립적인 응답 생성을 위한 프롬프트와 RAG 기법을 개발해 수상의 성과를 거뒀다.신유현 교수 연구팀은 자연어 처리의 주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AI 모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작성일 2025.06.10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1849 NO.149 컴퓨터공학부 정봉수 학생, 2025년도 한국음향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발표상 수상 컴퓨터공학부 정봉수 학생, 2025년도 한국음향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발표상 수상컴퓨터공학부 4학년 정봉수 학생이 2025년도 한국음향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우수발표상을 수상하였다.수상 논문은 "동적 계층 융합을 이용한 종단간 화자 분할 모델 성능 향상"으로, 녹음된 음성에서 누가 언제 말했는가(who spoke when) 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서로 다른 화자의 발화를 구분하는 인공지능 기술인 화자 분할(Speaker Diarization)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주제로 하고 있다.정봉수 학생은 김우일 교수의 지도 아래 IMPRESS Lab에서 학부연구생으로 활발히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컴퓨터공학부 학부 RA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인바 있다. 작성일 2025.05.20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2480 NO.148 저명 SCIE 저널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논문 게재(컴퓨터공학부 김지범 교수) 헬스 케어 분야 저명 SCIE 저널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논문 게재(컴퓨터공학부 김지범 교수)컴퓨터공학과 이재승 학생(지도 교수:김지범, 석사 졸업생), 최한슬 학생 (지도 교수: 김지범, 석사 과정 재학중)과 김지범 교수가 참여한 연구가 Healthcare 및 Biomedical 분야 최상위 SCIE 저널 인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JCR랭킹 상위 4.7%, IF=10.0)에 2025년 4월 자로 온라인 게재되었다. 게재된 논문의 제목은 A Wireless Cortical Surface Implant for Diagnosing and Alleviating Parkinson's Disease Symptoms in Freely Moving Animals 이다. 본 연구에서 김지범 교수 연구팀은 파키슨 병을 앓고 있는 쥐와 전기 자극을 준 쥐에 대하여 뇌파 분석을 수행하였다. 뇌파 분석 시에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heatmap 분석을 통하여 아래와 같이 전기 자극 전/후에 어떤 채널 (뇌 부위) 및 주파수 대역에 변화가 큰 지 분석하였다.본 연구는 나노 바이오공학 전공의 양성구 교수 연구팀의 주도로 한미령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재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한 결과로 향후 다양한 난치성 뇌질환 진단 및 치료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논문 링크: https://advanced.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adhm.202405179 작성일 2025.05.19 작성자 컴퓨터공학부 조회 2438 처음 116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