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목표
본 전공은 역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대에 따른 사회적 필요와 역사교사 및 역사교육 관련 분야 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등의 교육적 필요로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역사 교과를 구성하는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에 관한 최신의 연구 경향 및 내용 지식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는 전문적 교육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역사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2. 교수명단
성명 | 직위 | 학위명칭 | 전공분야 |
---|---|---|---|
이형우 김정욱 신유아 채준형 김성자 |
교수 부교수 부교수 부교수 조교수 |
문학박사(고려대 1999) 철학박사(University of Kansas 2010) 교육학박사(서울대 2013) 철학박사(시카고대학 2015) 교육학박사(서울대 2002) |
한국사(고려시대사) 미국사 역사교육, 한국사(조선전기) 동양사(중국근현대사) 역사교육 |
3. 선수과목
학칙 제8조, 학칙시행세칙 제6조
4.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
학칙 제25조 내지 제27조, 학칙시행세칙 제16조, 제17조
5. 교과과정(전공과목)
학수번호 | 교 과 목 명 | 학점 | 비 고 |
---|---|---|---|
2000179 |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국사 교육 | 2 | |
2000180 | 고려 시대사 | 2 | |
2000181 | 조선 시대사 | 2 | |
2000182 | 한국근현대사 | 2 | |
2000183 | 한국사 교과서 연구1 | 2 | |
2000184 | 한국사 교과서 연구2 | 2 | |
2000185 | 사료로 보는 한국사 | 2 | |
2000186 | 주제로 보는 한국사 | 2 | |
2000187 | 문화유산의 이해 | 2 | |
2000188 | 인천의 역사와 문화 | 2 | |
2000189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 2 | |
2000190 | 역사교육 이론의 이해 | 2 | |
2000191 | 역사교육 교수학습 및 지도법 | 2 | |
2000192 | 역사교육 연구의 새동향 | 2 | |
2000193 | 동아시아사의 재조명 | 2 | |
2000194 | 동아시아 고중세사 세미나 | 2 | |
2000195 | 동아시아 근세사 세미나 | 2 | |
2000196 | 동아시아 근현대사 세미나 | 2 | |
2000197 | 동아시아사 교재연구 | 2 | |
2000198 | 서양고중세사 세미나 | 2 | |
2000199 | 서양근대사 세미나 | 2 | |
2000200 | 서양현대사 세미나 | 2 | |
2000201 | 주제로 보는 서양사 | 2 |
6. 교과목 해설
-
-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국사 교육 (Korean History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
- 역사의 현장과 관련 있는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한국사 교육을 하는 교과목이다. 문화유산은 역사 속에서 당대인들의 삶이 투영된 정신적, 물질적, 문화적 소산이다. 따라서 현존하는 문화유산은 고조선 이래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오롯이 반영된 소중한 것으로서 우리는 그것을 통해 한국사의 모습을 보다 충실하게 알아볼 수 있다.
-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Contents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 歷史란 무엇인가 하는 歷史 자체의 學問領域에 관한 本質을 이해하고 이것이 歷史敎育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특히 歷史 인식으로서의 法則性과 一般化의 문제는 歷史敎育에 필수적이다. 역사교육의 내용으로서 지식과 사고력, 그리고 이것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
- 역사교육 이론의 이해 (Understanding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 現代史學과 敎育思潮의 흐름에 바탕을 둔 역사교육을 담당할 歷史敎師의 歷史敎育觀을 정립하기 위해 敎科敎育學的 基礎理論과 敎授學習方法의 이론 및 기능을 다루어 역사교육에 임할 專門職者로서의 기초를 다진다. 역사교육 분야의 최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역사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
- 역사교육 교수학습 및 지도법 (Teaching and coaching in History Education)
- 역사교육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고 앞으로의 역사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안에 대해 탐색한다. 역사교육에 적용될 敎材에 관한 基礎理論과 主要敎材를 各論하여 國史敎育에서 敎材의 意義를 이해하는 한편 학교현장의 교육실습과의 연계, 교과 통합 교육과정 운영 등에 중점을 두고 역사의 敎授學習에 관한 理論과 現場機能에 관계되는 문제를 다루어 國史敎師의 專門職 基盤을 굳힌다.
-
- 역사교육 연구의 새동향 (A New Trend in Historical Education)
- 최근 강조되고 있는 학생 중심 교육 사조에 맞추어 역사교육 분야의 연구에서 나타난 새로운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스스로의 시각을 가지고 전망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역사교육분야의 연구가 목표를 명확히 하고 그 나름의 이론을 정립하고자 노력해 왔다면 앞으로의 역사교육 연구가 추구하고 있는 방향과 그 적절성에 대해 탐색해 본다.
-
- 고려 시대사 (History of Goryeo)
- 고려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약 500여 년이란 오랜 기간 동안 존속하였던 국가이다. 그러나 중고등학교에서는 충분한 내용을 가르치지 않고 있다. 고려는 조선과 비교할 때 보다 개방적이었고, 보다 다양성을 가진 국가였다. 이 교과목을 통해 고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성립, 변화, 발전에 대하여 공부함으로써 고려의 본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다.
-
- 조선 시대사 (History of Joseon)
- 조선은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00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존속하였던 국가이다.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성립, 변화, 발전에 대하여 이해한다. 대상이 되는 시기는 개항 이전까지로 한정한다.
-
- 한국근현대사 (Modern History of Korea)
- 한국사를 시대 구분할 때 개항 이후부터 근대사가 시작된다고 보는 경향이 많다. 이 교과목은 조선 개항 이후부터 현대까지를 중심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변화, 발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교과목이다.
-
- 한국사 교과서 연구1 (Study on Korean history textbooks1)
- 현재 한국사 교과서는 검정 교과서 체제이다. 그런 까닭에 각 검정 교과서별로 다소간의 내용 및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교과목은 각 한국사 검정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개항 이전까지 내용에 대해 비교, 검토하는 교과목이다.
-
- 한국사 교과서 연구2 (Study on Korean history textbooks2)
- 현재 한국사 교과서는 검정 교과서 체제이다. 그런 까닭에 각 검정 교과서별로 다소간의 내용 및 시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교과목은 각 한국사 검정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개항 이후부터의 내용에 대해 비교, 검토하는 교과목이다.
-
- 사료로 보는 한국사 (Korean History to understand with historical sources)
- 우리 조상들은 이른 시기부터 다양한 역사 기록을 남겨왔다. 현재 전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고려시대의 역사를 정리한 고려사, 조선시대 삶의 모습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조선왕조실록 등 중요한 역사 기록들이 많다. 그 기록들 중 한국사를 연구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필수적인 사료들을 소개한다. 나아가 사료의 이해와 해석 능력을 갖추어, 한국사 연구의 기본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
- 주제로 보는 한국사 (Korean History to understand with historical subjects)
- 한국사를 이해하는 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정치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방법, 경제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방법,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방법, 전쟁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이 교과목은 그런 주요한 역사적 주제들을 중심으로 한국사를 이해하고자 한다.
-
- 문화유산의 이해 (Understanding of Cultural Heritage)
- 문화유산은 인류가 남긴 문화적 소산, 정신적ㆍ물질적 각종 문화재나 문화 양식 따위를 모두 포함하는 말이다. 그런 까닭에 우리 문화유산은 우리 조상이 남긴 정치, 경제, 사회 등에 대한 소중한 자산이며, 후손에게 잘 보존, 관리하여 물려주어야 할 대상이다. 그런 문화유산에 대한 개념과 기본적인 내용들을 이해하고, 애정을 갖게 하며, 또한 어떻게 보존, 관리할 것인가에 대하여 공부하는 교과목이다.
-
- 인천의 역사와 문화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 인천대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도시는 인천광역시이다. 그런 까닭에 인천대학교의 구성원 및 학생들은 인천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탐구하며 나아가 애정을 가지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교과목은 그런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서 인천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교과목이다.
-
- 동아시아사의 재조명 (New perspectives in East Asian History)
- 동아시아사 전반의 기존 연구 동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이론, 연구 방법론 및 교수법 등을 모색한다.
-
- 동아시아 고중세사 세미나 (Ancient and Medieval East Asian History Seminar)
- 중국 고대사와 중세사를 중심으로 고대 동아시아 세계 형성과 발전을 검토한다. 동아시아 고대 및 중세사의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
- 동아시아 근세사 세미나 (Early Modern East Asian History Seminar)
- 송대부터 명청시대 중국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세계의 역사적 구조를 파악한다. 동아시아 각국의 역사를 비교사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동아시아 근세사 연구 경향을 검토한다.
-
- 동아시아 근현대사 세미나 (Modern East Asian History Seminar)
- 19-20세기 중국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근대의 다양한 양상을 구조적으로 파악한다.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최근 연구 경향과 주요 연구 이슈를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
- 동아시아사 교재연구 (East Asian History Teaching Sources Review)
- 동아시아사 교육에 활용되는 교과서 및 다양한 종류의 교재를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 서양고중세사 세미나 (Seminar i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the West)
- 서양고중세사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와 연관된 중요 문제를 세미나를 통해서 학습한다.
-
- 서양근대사 세미나 (Seminar in Modern History of the West)
- 서양근대사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와 연관된 중요 문제를 세미나를 통해서 학습한다.
-
- 서양현대사 세미나 (Seminar in Contemporary History of the West)
- 서양현대사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와 연관된 중요 문제를 세미나를 통해서 학습한다.
-
- 주제로 보는 서양사 (Seminar in Special Topics in Western History)
- 서양사에 관한 특정의 주제를 선정하고 세미나 수업을 통해 이를 학습한다.